오늘도 계속되는 부린이의 부동산 시장 공부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부동산 시장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해서 좀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부동산 시장만의 특별한 특징에 대해 더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수요자도 공급자? 부동산 시장의 독특한 관계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자와 공급자의 경계는 다른 시장보다 불분명합니다. 부동산을 파는 사람이 공급자, 사는 사람이 수요자라 할 수 있지만, 한 사람이 수요자와 공급자 역할을 번갈아 하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발업자는 부동산을 공급하기 위해 초기에 토지나 주택을 구매해야 하므로, 공급자이면서도 동시에 수요자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일반적인 개인 수요자도 상황에 따라 공급자가 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이 이를 다시 판매하거나 임대할 때는 공급자가 되며, 이 과정은 시장에서 계속 반복됩니다. 부동산 시장에서의 이러한 역할 변화는 시장에 중요한 의미를 주며 수요와 공급의 조절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특성을 드러냅니다.
토지의 한정된 공급, 불로소득의 이유(희소성과 부증성)
부동산, 특히 토지는 희소성과 부증성을 가지고 있어 그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토지는 공급이 제한되어 있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 빈번히 발생합니다. 이런 희소성 때문에 토지의 가치는 꾸준히 상승하며 이는 불로소득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가격 상승이 계속되면서 시장에서는 일종의 거품 가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수요에 비해 토지 공급이 늘어날 수 없는 특성 때문입니다. 수요는 끊임없이 증가하지만 토지 공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에서는 항상 일정한 불균형이 존재하게 됩니다.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조정하는 이유(공급과 가격의 조절자)
부동산의 희소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여러 제도를 통해 시장에 개입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토지 이용 제도를 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지역지구제를 통해 토지의 용도를 제한하고 필요에 따라 용도 변경을 통해 새로운 공급을 창출합니다. 이로써 토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하고 공급이 절대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특성을 보완하려 노력합니다.
또한, 건물과 토지의 허가 물량을 조절하여 공급량을 통제하며 가격 제한과 공급 방식 규제를 통해 시장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정부의 영향력이 큰 이유는 부동산은 개인 소유임에도 공공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공급이 늦어지는 이유와 시장 불안정성
부동산 개발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수요에 맞춰 공급을 즉각 조정하기 어렵습니다. 아파트 단지나 새 도시 개발은 최소 몇 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야기해 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시간 차이는 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며 때로는 수요 과다로 인해, 때로는 공급 과다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가 계속 반복됩니다. 이로 인해 부동산 시장은 언제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지고 이는 정부의 지속적인 조정이 필요한 이유가 됩니다.
부동산 시장은 일반 상품 시장과 달리 수요자와 공급자의 역할이 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희소성과 부증성으로 인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한 제도를 통해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개입합니다. 이러한 부동산 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면, 왜 정부가 부동산 정책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지 또 시장이 불안정하게 유지되는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raondaon-haru.tistory.com/38
부동산 시장의 유형과 특징(부동산 투자 전 알아야 할 기초 지식!)
오늘도 부린이는 부동산 공부를 합니다 :)부동산 시장의 기초 지식으로, 시장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부동산 시장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주
raondaon-haru.tistory.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문제가 끊임이 없는 이유?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1) | 2024.11.20 |
---|---|
한국 부동산 시장의 변화와 특징(feat. 투자 전략 & 미래전망) (3) | 2024.11.19 |
부동산 시장의 유형과 특징(부동산 투자 전 알아야 할 기초 지식!) (1) | 2024.11.12 |
부린이의 부동산 시장 이해: 기본적인 개념과 6가지 중요한 기능 알기 (5) | 2024.11.10 |
부동산 투자에서 제일 중요한 네 가지 포인트, 알고 계셨나요? (5) | 2024.11.09 |